1. STS304 스테인레스강.(18Cr-8Ni-Fe) |
|
|
|
|
'- STS304는 대표적인 austenite계 스테인레스 강으로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각분야에 |
널리 사용되고 있다. |
|
|
|
|
|
|
고온에서 저온까지 안정화 되어 있으며 열처리에 의하여 경화되지 않고 연성이 풍부하여 |
이외 다른 강종에 비하여 가공성이 우수하다. 일반적으로는 비자성이지만 냉간가공에 의하여 |
일부 준안정 austenite가 가공유기 martensite로 변태하여 약간의 자성을 띠기도 한다. |
|
'-STS304 강종은 용강으로부터 고상으로 응고할때 δ-Ferrite가 우선 석출되며, 온도에 따라 |
austenite 상이 안전한 상으로 되기 때문에, 상온에서는 완전한 austenite 조직이 존재 |
|
하여야만 δ-Ferrite가 잔류하기도 한다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2. STS304의 가공과 자성의 관계 |
|
|
|
|
|
'- 냉간가공에 의하여 제작된 제품의 부위별로, 가공경화가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STS304의 |
내부 상(phase)이 austenite에서 martensite로 바뀌기 때문이다. |
|
|
이처럼 냉간가공에 의하여 생성된 martesite는 칼이나 가위를 만드는 STS420(martensite계) |
과는 다르며 가공유기 martensite라 한다. |
|
|
|
|
'- 가공유기 martensite상은 austenite가 불안정할수록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|
STS304의경우 외부 응력에 의하여 변형될경우 변형량에따라 증가한다.(그림1참조) |
|
스테인레스강을 냉간가공시 냉간변형량이 많을수록 가공유기martensite상의 생성량이 |
늘어나 경화되게 된다. |
|
|
|
|
|
|
'- martensite상은 austenite상과달리 강자성이고 강도가 높다. 가공유기 martensite 의 생성은 |
소재의 화학성분과도 관련이 있지만, 대부분 austenite계 스테인레스강은 냉간가공으로 |
인하여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가공유기 martensite가 생성된다. |
|
|
3. 냉간가공시 생성되는 가공유기martensite상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|
|
|
3.1 자성과 내식성과의 관계 |
|
|
|
|
|
|
'- 스테인레스강의 내식성은 화학성분에 의하여 표면의 부동태피막(Cr2O3)에 의하여 결정되는 |
것으로 냉간가공에 의해 상변태가 일어난다 하더라도 화학성분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기 때 |
문에 내식성 변화는 없다라고 판단됨.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3.2 자성을 띨때 스테인레스강의 물성 변화 |
|
|
|
|
'- STS304는 열처리 직후에 대부분이 austenite상의 내부 조직을 갖고있지만, 냉간가공에의해 |
변형이 일어나면 austenite조직의 일부가 가공유기martensite 상으로 변태하게 된다. |
|
Martensite상은 austenite상과 달리 자성을 띠며 강도도 높은 특성이 있다. 따라서 냉간 |
|
가공후 가공유기 martensite의 생성으로 제품(소재)의 강도가 증가하고 자성을 띠게 된다. |
|
|
|
|
|
|
|
|
|
4. 참고 |
|
|
|
|
|
|
|
|
 |
스테인리스강은 성분상으로 Cr계와 Cr-Ni계로 대별되고 있으며 금속조직적으로는 Cr계는 |
|
페라이트계와 마르텐사이트계로, Cr-Ni계는 오스테나이트계로 구분된다. |
|
|
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|
|
|
|
|
|
'- 강종 : STS 301, 301L, 304, 304L, 316, 316L, 321 |
|
|
|
'- 주요 용도 : 화학공업, 제지공업, 정유공업, 항공기, 식품공업, 섬유공 업, 태양열온수기, |
|
원자력발전, LPG플랜트와 건축, 차량, 주방기 기등 특히 미려함이 요구되는 부분에 |
|
사용됩니다. |
|
|
|
|
|
|
'- 특성 : 내식성, 인성, 용접성이 양호하며 스테인리스 생산의 60%이상을 점유합니다. |
|
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|
|
|
|
|
|
|
'- 강종 : STS 409, 409L, 410L, 430, 430J1l, 436L, 444 |
|
|
|
'- 주요용도 : 대기중에 사용되는 건축내외장재, 자동차 배기계, 가정주방용 기구, 식기류, 전기기기 |
등에 사용됩니다. |
|
|
|
|
|
|
'- 특성 : C 0.10% 이하 Cr 14~18%로 스테인리스강 생산량의 20~25%를 점유합니다. |
|
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|
|
|
|
|
|
'- 강종 : STS 410, 420J1, 420J2 |
|
|
|
|
|
'- 주요용도 |
|
|
|
|
|
|
|
'+ 저탄(0.1~0.29%) : 내식성을 필요로 하는 기계구조용에 사용됩니다. |
|
|
'+ 중탄(0.3~0.99%) : 구조용, 정,칼, 의료기기등에 사용됩니다. |
|
|
|
'+ 고탄(1.0%이상) : Blade, Bearing, 계측기기등 내마모, 내식성 부품에 사용됩니다 |
|
'- 특성 : 고경도를 요하는 기계 부품류, 계측기기용 및 Knife류에 사용되며 내마모성이 좋습니다. |
이상(二相)계 스테인리스강 |
|
|
|
|
|
상온에서 오스테나이트상과 페라이트상의 혼합조직으로 강도가 우수하고 결정립이 미세화되며, |
응력부식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준다. |
|
|
|
|
|
석출경화계 스테인리스강 |
|
|
|
|
|
|
열처리후 시효에 의해 Cu,Al,Ti,Nb등의 금속간화합물을 석출시켜 강도를 향상시킨다 |